방언론 - 표준어와 방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3 08:05
본문
Download : 방언론(표준어와방언).hwp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Download : 방언론(표준어와방언).hwp( 31 )
1. 표준어와 방언, 1) 방언(方言), 2) 표준어 , 3) 표준어와 방언의 차이 , , 2. 방언의 유형, 1) 지역 방언(地域方言), 2) 사회 방언((社會方言) , , 3. 방언의 특질, 1) 보수성 , 2) 개신성, 3) 분화성 , 4) 통합성 , 5) 계급성 , 방언연구의 의의, (1) 공시적 측면 , (2) 통시적 측면 , , 4. 방언조사와 언어지도, 1) 방언조사, 2) 언어지도, , FileSize : 33K , 방언론 - 표준어와 방언인문사회레포트 , 방언 방언론 표준어 언어지도
순서
방언,방언론,표준어,언어지도,인문사회,레포트
1. 표준어와 방언, 1) 방언(方言), 2) 표준어 , 3) 표준어와 방언의 차이 , , 2. 방언의 유형, 1) 지역 방언(地域方言), 2) 사회 방언((社會方言) , , 3. 방언의 특질, 1) 보수성 , 2) 개신성, 3) 분화성 , 4) 통합성 , 5) 계급성 , 방언연구의 의의, (1) 공시적 측면 , (2) 통시적 측면 , , 4. 방언조사와 언어지도, 1) 방언조사, 2) 언어지도, , download : 33K
설명
방언론 - 표준어와 방언
1. 표준어와 방언
1) 방언(方言)
2) 표준어
3) 표준어와 방언의 차이
2. 방언의 유형
1) 지역 방언(地域方言)
2) 사회 방언((社會方言)
3. 방언의 특질
1) 보수성
2) 개신성
3) 분화성
4) 통합성
5) 계급성
방언연구의 의의
(1) 공시적 측면
(2) 통시적 측면
4. 방언조사와 언어지도
1) 방언조사
2) 언어지도
2. 방언의 유형 한 언어 안에서의 방언의 분화는 크게 두 가지 원인(原因)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 지역 방언(地域方言) 지리적인 거리로 인하여 서로 차이가 있게 되어 분화된 방언 --> 두 지역 간에 큰 산맥이나 강 등의 지리적인 장애가 있거나 서로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게 되면, 두 지역의 언어는 점차 다른 모습으로 발전해 가게 되는 경우가 있다 ( 국어의 경우, 제주도방언, 경상도 방언, 충청도 방언, 전라도 방언 등 道名을 붙여 부르고 있는 방언들이 그러한 예이다. ) ) 사회 방언((社會方言) 동일 지역 안에서도 사회적 요인 - 사회계층, 세대, 성별, 직업, 종교…(To be continued )
레포트/인문사회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