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체장애아의 特性]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 特性 I. 생존에 필요한 반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1 08:00
본문
Download : [지체장애아의 특성]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 특성.hwp
이 반사가 소실되지 않을 경우에는 입 주위를 자극할 때 아동의 고개가 반사적으로 돌아가 몸통의 균형이 깨짐으로 인해 다른 동작을 하는 데 방해를 받는 요인이 될 수 있으며 비정상적인 운동패턴이 나오게 될 수 있다아
2. 흡철반사(sucking reflex)
아이의 입 안에 엄마의 엄지손가락이나 젖꼭지 등을 넣으면 아동이 힘차게 빤다.
출생 시부터 나타나서 평생 동안 지속되지만 이 구토반사가 작용하지 않을 경우 기…(skip)
설명
[지체장애아의 特性]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 特性 I. 생존에 필요한 반사..
지체장애아,특성,뇌성마비,아동,운동,특성,I,생존,필요한,반사,기타,방송통신
Download : [지체장애아의 특성]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 특성.hwp( 92 )
I. 생존에 필요한 반사 1. 설근반사(rooting reflex) 젖꼭지가 합에 닿거나 손가락을 입술 근처에 대면 입술을 실룩거리거나 젖꼭..
I. 생존에 필요한 반사 1. 설근반사(rooting reflex) 젖꼭지가 합에 닿거나 손가락을 입술 근처에 대면 입술을 실룩거리거나 젖꼭.. , [지체장애아의 특성]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 특성 I. 생존에 필요한 반사..기타방송통신 , 지체장애아 특성 뇌성마비 아동 운동 특성 I 생존 필요한 반사
다. 출생 시부터 나타나 생후 3개월이 지나면 서서히 사라지는 반사 형태지만, 적절한 시기에 소실되지 않는 경우 입 주위 근육이 이완이 안 되고 계속 빨려는 기능으로 인해 음식을 씹는 기능이 나타나지 못할 수 있다아
3. 구토반사(gag reflex)
아동의 혀 뒤쪽 2/3부위를 손으로 눌러 주면 구토하려는 반사로, 음식물이 기도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해 주는 기능을 한다.방송통신/기타
순서
I. 생존에 필요한 반사
1. 설근반사(rooting reflex)
젖꼭지가 합에 닿거나 손가락을 입술 근처에 대면 입술을 실룩거리거나 젖꼭지를 찾아 고개를 돌리며, 보지 않고도 고개를 돌려 젖을 빨 수 있게 한다. 출생 시에 나타나 3개월이 지나면 차출 사라지는 반사 형태이다.